미군 수면법이란
피트니스 전문가인 저스틴 아구스틴(Justin Agustin)은 ‘2분 안에 잠들 수 있는 수면법’(How to Fall Asleep in 2 Minutes) 영상을 SNS에 올렸다. 이 수면법은 1981년 미국의 운동 심리학자 버드 윈터(Lloyd Bud Winter)가 개발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군 전투기 조종사들이 6주간 반복 훈련한 결과 참가자의 96%가 2분 이내에 잠드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먼저 편안한 자세로 누워 이마-눈-뺨-턱-목-어깨 순으로 몸의 힘을 푼다. 이때 어깨가 긴장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손도 옆구리 옆에 느슨하게 둔다. 이어 천천히 심호흡하며 숨을 내쉬면서 가슴, 배, 허벅지, 무릎, 다리, 발까지 따뜻한 감각이 전해지는 것을 상상한다.
미군 수면법의 비밀
왜 효과가 있을까?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통해 몸과 마음을 빠르게 안정시키는 기술이다. 우리가 잠들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긴장과 스트레스 때문인데 이 방법은 긴장을 완전히 풀고, 뇌를 비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군 수면법이 특별한 이유는 즉각적인 효과로 신체의 마음이 동시에 이완되며, 잠들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연습할수록 좋아지며 꾸준히 연습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한다. 미군 수면법은 실생활에 바로 적응 가능하며 침대뿐만 아니라, 비행기 소파 등 어디에서나 활용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숙면과 수면의 차이
- 수면은 피로가 누적된 뇌의 활동을 주기적으로 회복하는 생리적인 의식상실 상태이다. 외관적으로 주위의 환경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게 되며, 감각이나 반사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수면 상태에서 관찰되는 일정한 뇌파를 통해 구분되는데 수면이 깊어질수록 뇌파는 일반적으로 느려지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 숙면은 깊게 자는 잠의 뜻이며 양질의 잠, 푹 자는 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로는 사운드 슬립(Sornd Sleep), 또는 딥슬립(Deep Sleep)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흔히 오늘 깊게 잤다, 못 잤다는 이야기들을 하고는 하지만 그 말의 정확한 의미에 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숙면의 효과
숙면의 신체와 정신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집중력, 기억력향상: 잠이 부족하면 학습장애와 일의 능률이 저하된다.
- 비만 및 당뇨예방: 잠이 부족하면 탄수화물을 체내에 저장하고 대사가 느려져 비만이 되기 쉽고 당뇨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 안전사고 예방: 잠이 부족하면 낮에 졸리기 쉽고, 실수나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 행복함 증가: 잠이 부족하면 감정변화가 심해지고 예민하거나 우울해지기 쉽다.
- 고혈압, 심장질환 예방: 잠이 부족하면 고혈압 부정맥 및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 면역력 강화: 잠이부족하면 면역력을 담당하는 세포의 생산과 활동을 저하시켜 면역력을 저하시킨다.
- 피부 재생 촉진: 잠이 부족하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여드름이 생길 수 있다.
불면증 예방법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점은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잠을 자지 않을 때에는 침대에 누워있지 않고, 하루 중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또한 커피와 술, 담배 등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요소를 멀리해야 한다. 치료의 방법으로 잠깐 낮잠을 잘 수는 있지만 되도록 낮에 자는 것을 피해야 한다. TV나 스마트폰을 보는 대신 독서를 하는 것도 좋다.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빛이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해 잠드는 것을 방해하고 잠이 들어도 대뇌가 각성해 깊은 잠에 빠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불면증은 흔한 만큼 질병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불면증은 더 심해져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전에 치료해야 하는 질병이다.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돼지가 싫다면 식단부터 꼼꼼히 ! (0) | 2025.01.12 |
---|---|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더이상 짜지 마세요! (0) | 2025.01.11 |
예고 없이 찾아오는 심근경색 (2) | 2025.01.09 |
트림을 했는데 목에서 신물이? 역류성식도염 (13) | 2025.01.08 |
긴장하면 배가 꾸루룩, 원인은 과민성대장증후군? (4)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