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Bytrb/btsLnFieTor/QxROc9YsharkGlTYyYv1nK/img.jpg)
소아사시란?
사시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아서, 시선이 한 물체를 똑바로 향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사시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약하거나, 뇌신경이나 시신경에 이상이 있음면 나타날 수 있으며 굴절 이상이 있을 때도 물체를 정확하게 보려고 눈을 움직이면서 사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유전적인 원인도 있으며 외상이나 뇌종양, 근육질환의 합병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소아사시는, 연령적인 특성에 의해서 환자 스스로 자신의 증상을 표현하기 어렵다. 또 안구에 이상이 나타나도 스스로 자각하기 어려울 수 있어 발견이 늦어질 수 있으며 원인 또한 명확한 파악이 어려울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시의 종류와 증상
선천성은 태어날 때부터 발생한 것을 말하며, 유아성은 생후 6개월 이내에 발병, 후처천성은 그 이후에 발병한 것을 말한다. 내사시는 눈이 안으로 몰리는 경우, 눈이 밖으로 나가는 경우를 외사시 위로 올라가는 경우를 상사 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를 하사시라고 말한다. 이중 내사시와 외사시를 수평사시라고도 말하며, 상사 시와 하사시는 수직사시라고 말한다. 조절은 근거리를 볼 때 눈에 있는 모양채 근이라는 근육이 수척하면서 수정체가 두꺼워져 굴절력이 상승하는 자연적인 현상을 말한다. 이 조절 기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사시를 조절성이라고 말하며 소아의 원시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조절 내사시가 대표적이다. 조절과 관계가 없는 것을 비조절성 사시라고 말한다.
사시 치료방법
소아사시의 경우에는 조기 발견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찍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의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시의 치료 목표는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하고, 눈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만들어 주는 데 있다.
시력이 이상으로 사시가 발생하였다면, 안경 착용으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으며, 약사가 있을 때에는 시력이 좋은 쪽 눈을 하루에 일정 시간 가려거서 시력이 안 좋은 쪽 눈을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가림막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비수술적 치료의 진행이 어렵다면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절제해서 깊이를 조절해 주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눈건강에 좋은 영양제
눈 건강을 위한 영양제가 여러 가지 있지만, 약시에 특히 좋은 영양제를 알아본다.
- 루테인은 시력에 중요한 눈의 황반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며 10~20mg 정도를 섭취하고 식사 후에 먹어야 흡수율이 높다.
- 오메가 3-지방산은 눈의 건조를 예방하고 눈물의 품질을 향상하며 염증을 완화하고 각막세포를 재생시켜 눈이 건조하지 않게 한다.
- 비타민C는 눈의 콜라겐 형성에 도움을 주어 안구 건강을 유지한다.
- 빌베리 추출물은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하여 눈의 모세혈관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눈의 피로개선에 도움이 되며 야간시력이 개선되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어린이 눈 건강 관리법
시력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진을 하는 것이다. 시력, 색분별하는 감가, 입체감등의 기능은 생후 3개월 경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만 7세부터 만 12세까지 발달과정을 거친다. 소아 시력검사는 출생직후, 출생 후 3개월, 만 1세, 만 3세까지 정기적으로 검진하며 만 3세 이후로는 6개월마다 검진하는 것이 좋다. 별다른 이상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검사를 한다면 소아사시를 최대한 빨리 발견할 수 있다. 한번 근시가 생기면 성장이 멈출 때까지 근시도 진행되기 때문에 조기발견하고 눈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여 교정을 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전 저 기기 사용시간을 가급적 줄이고 일정 시간 시청 후 먼 곳을 쳐다보며 눈을 쉬게 해주는 것이 좋다.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몬수 알고 마셔야 하는 이유 (0) | 2024.12.21 |
---|---|
다이어트에 중요한 GLP호르몬 (1) | 2024.12.20 |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과연 괜찮을까? (2) | 2024.12.19 |
겨울철 더 심해지는 피부건조증 (2) | 2024.12.17 |
면역력이 건강을 지킨다. (4)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