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많은 성인들이 겪는 피부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성인 여드름은 청소년기와는 다른 원인과 특징을 가지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의, 원인, 유형, 치료 방법, 그리고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여드름의 원인
- 호르몬 변화: 사춘기, 생리주기, 임신 등 호르몬 변화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안드로겐 호르몬이 증가하면 피지선이 자극받아 기름이 과도하게 분비된다.
- 유전적 요인: 가족 중 증상이 있었던 경우, 개인이 생길 확률이 높다. 유전적 요인은 피부의 기름 분비와 염증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호르몬 균형을 깨뜨려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몸에서 코르티솔 호르몬이 증가하는데, 이는 피지 분비를 촉진한다.
- 잘못된 식습관: 고당분, 기름진 음식, 유제품 등의 섭취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식들이 인슐린 수치를 높여 피지선 활동을 자극할 수 있다.
- 피부 관리 부족: 적절한 세안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피부에 맞지 않는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모공이 막혀 발생할 수 있다.
여드름의 유형
- 블랙헤드와 화이트헤드로 분류된다. 블랙헤드는 모공이 열려있어 공기와 접촉하면서 검은색으로 생기는 반면, 화이트헤드는 모공이 막혀 있어 피부 포면이 하얗게 보인다.
- 염증성 여드름은 농포와 결절로 분리되는데. 농포는 고름이 차 있는 붉은 발진으로, 통증과 염증이 동반된다. 결절은 피부 깊숙한 속에서 발생하는 단단한 덩어리로, 통증이 심하고 치료가 필요하다.
- 낭종은 피부 아래에 형성된 큰 덩어리로, 염증이 심하고 고름이 차 있을 수 있다. 피로가 필요하며 흉터를 남길 가능성이 있다.
치료방법
경미한 증상일 경우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벤조일퍼옥사이드나 실리실산이 포함된 제품이 효과적이다. 벤조일 퍼옥사이드는원인균을 죽이고 염증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실리실 산은 피부 각질증을 제거하고 모공을 청소하는데 도움을 준다. 중증 증상일 경우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항생제나 레티노이드를 처방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레티노이드는 세포 턴오버를 촉진하고 염증 발생을 줄여준다. 최근에는 레이저 치료나 화학적 필링 같은 피부과적 치료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드름에 대한 잘못된 상식
- 초콜릿과 기름진 음식이 증상을 유발한다? XXXXX 특정음식이 증상을 직접적으로 유발한다는 증거는 부족하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고지방 식품이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 여드름은 청소년만의 문제? XXXXX 실제로 증상은 성인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 단순히 피부가 더러워서 생긴다? XXXXX 여러 복합적인 원인(호르몬, 유전, 염증 등)으로 발생하며, 단순히 피부가 더럽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다.
- 짜면 더 나빠진다? XXXXX 위생적이지 않게 짜는 것은 물론 좋지 않고 흉을 만들 수 있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위생적인 도구로 짜는 것을 추천한다. 흉터가 남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 첫째, 규칙적인 세안이 필요하다. 하루 두 번, 부드러운 클렌저로 세안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해야 한다.
- 둘째,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야 한다. 물을 많이 마시면 피부가 촉촉해지고, 피지 분비가 조절된다.
- 셋째,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운동이나 명상,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
-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피부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더이상 짜지 마세요!
블랙헤드와 화이트헤드의 차이개방형 면포로 알려져 있고 모공 내벽에 과다한 피지, 잔여물, 각질이 결합해 생긴 막긴 모공의 일종으로 이 혼합 물질이 피부 표면에 있는 모공의 개구부에 도달
191110-m.tistory.com
블랙헤드와 화이트헤드를 조금더 알고있다면 위 포스팅을 읽는것도 도움이 될것 입니다.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복 유산소 운동 : 이런사람은 하면 위험하다고? (0) | 2025.02.13 |
---|---|
우울증은 죄가 없다. 자가진단과 테스트 (24) | 2025.02.12 |
탈모치료의 최신트랜드 알아보고 치료하자 . (25) | 2025.02.10 |
송대관의 사망이유는 심장마비, CPR에 대해 알아본다. (25) | 2025.02.09 |
수면제 말고 식물성 멜라토닌 어때요 ? (17)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