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마비의 정의와 원인
심장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이 혈전이나 지방 침착물로 막히면서 발생한다. 대부분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조기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 호흡 곤란, 팔이나 목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있다. 주요 원인은 동맥경화증으로, 이는 혈관 내벽에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흡연, 비만, 고지혈증 등이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스트레스와 운동 부족 또한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유전적 요인도 중요하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심장마비의 증상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가슴의 압박감이나 통증이 있다.
- 어깨, 팔, 목, 턱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 호흡이 짧아지거나 숨이 막히는 느낌이 들 수 있다.
- 메스꺼움이나 구토, 심한 땀을 흘리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심장마비의 예방 방법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이 필수적이며, 체중을 관리하고 금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수면도 심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장마비 발생 시 대처 방법
- CPR을 시행하기 전에 주변 환경을 확인하여 안전한지 확인한다. 자신과 환자의 안전이 우선이다.
- 반응 확인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흔들며 "괜찮으세요?"라고 크게 외쳐 반응을 확인한다. 반응이 없다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응급 구조를 요청한다.
- 호흡 확인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호흡을 확인한다. 환자의 입과 코에 귀를 대고 10초 이내에 호흡이 정상인지 확인한다.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CPR을 시작한다.
- CPR 시작 1. 가슴 압박: - 환자를 평평한 바닥에 눕힙니다. - 손바닥을 가슴 중앙에 위치시키고,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압박한다. - 팔을 곧게 펴고 체중을 이용해 압박한다. - 1분에 100~120회의 속도로 가슴을 약 5~6cm 깊이로 압박한다. 2. 인공호흡: (가능한 경우): - 가슴 압박 후, 환자의 기도를 열기 위해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올린다. - 두 손으로 코를 막고, 입을 환자의 입에 대고 1초 동안 두 번 숨을 불어넣는다. 이때 가슴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한다. -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30:2 비율로 반복한다.: 가슴 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
- 응급 구조대 도착 응급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CPR을 시행한다. 만약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거나 정상적인 호흡을 시작하면 CPR을 중단하고 환자를 안정된 자세로 두고 도움을 기다린다.
CPR은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누구나 기본적인 CPR 기술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별한 경우
아동 및 영아: 아동의 경우 가슴 압박은 한 손으로, 영아의 경우 두 손가락으로 압박한다. 인공호흡은 아동과 영아 모두 1회 호흡 후 가슴 압박을 시행한다. 자동 심장충격기(AED)가 있는 경우, 즉시 사용하여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다. AED의 음성 안내에 따라 진행한다.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춘기도 지났는데... 성인 여드름에 대하여. (26) | 2025.02.11 |
---|---|
탈모치료의 최신트랜드 알아보고 치료하자 . (25) | 2025.02.10 |
수면제 말고 식물성 멜라토닌 어때요 ? (17) | 2025.02.08 |
헤르페스가 아니라고? 입술부음의 원인 혈관부종에 대해 (8) | 2025.02.07 |
만성염증을 없애는 음식 5가지! 알고 먹으면 더 효과적이다 (2)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