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건강은 내가 지켜야지

하임리히법 완벽 가이드: 기도폐쇄 응급처치부터 실습 꿀팁까지

by 잉엥옹 2025. 4. 12.

목차

1. 하임리히법이란?

2. 언제 시행해야 하나? 적용 대상

3. 단계별 시술 방법

4. 연령별·상황별 변형 기법

5.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6. 실습 및 교육 권장사항

7. 자주 묻는 질문(FAQ)

8. 결론 및 행동 유도(CTA)

1.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이란?

기도가 음식물, 이물질 등으로 완전 또는 부분 폐쇄되었을 때, 인위적으로 복부를 압박하여 폐 내 공기를 통해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응급처치 기법입니다. 1974년 미국의 외과의사 헨리 하임리히 박사가 발표했으며, 즉각적인 처치로 뇌 손상과 사망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2. 언제 시행해야 하나? 적용 대상

완전 기도폐쇄: 말·기침 불가, 호흡음 무, 청색증(피부·점막이 푸르게 변함) 부분 기도폐쇄: 기침·호흡은 가능하나 점차 악화, 이물질이 걸린 듯한 지속적 곤란감 응급 대응의 시급성: 병원 이송 전 1분의 지체도 치명적이므로, 목격자는 즉시 하임리히법을 시작해야 합니다.

3. 단계별 시술 방법

  1. 환자 자세 확인 환자를 뒤에서 감싸듯 서서 양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안정된 자세를 취합니다.
  2.  손 위치 설정 한 손을 주먹 쥐고 엄지손가락 측이 배꼽과 흉골 하단 사이(횡격막 위치)에 오도록 합니다. 다른 손을 주먹 위에 겹쳐 고정합니다.
  3. 복부 압박 실시(Abdominal Thrust)  빠르고 강하게 위쪽·안쪽으로 5~10회 연속 압박합니다.
  4. 이물질 배출 확인 이물질이 튀어나오거나 환자가 기침·호흡을 회복하면 즉시 압박을 멈추고 안정 상태를 관찰합니다.
  5. 의식 소실 시 대처 의식이 사라지면 환자를 바닥에 눕히고 119 또는 응급의료기관에 연락 후 심폐소생술(CPR)을 즉시 시작합니다.

4. 연령별·상황별 변형

  • 영아(1세 미만) 복부 압박 대신 등을 두드리는 등 타격(back blows)과 흉부 압박(chest thrust)을 교차 시행
  • 임산부·비만 환자 복부 압박이 어려운 경우 흉골 하단(가슴 중앙)에 흉부 압박으로 대체 의료진용 기구적 방법 기관경, 마길 겸자(Magill forceps) 등 전문 장비로 직접 이물질 제거

5.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내부 장기 손상 위험 과도한 힘·반복 압박 시 간·비장 손상 우려 골절 위험 노인·골다공증 환자는 늑골 골절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드럽게 시행 심정지 상태 맥박·호흡이 없으면 곧바로 심폐소생술로 전환해야 합니다.

6. 실습 및 교육 권장사항

정기적 훈련 분기별 CPR·응급처치 교육 과정 이수 및 마네킹 실습 모의 상황 연습 영상 강의 및 매뉴얼 숙지 후 팀별 역할 분담 모의훈련 인증 취득 대한심폐소생협회 등 공인 기관의 자격증 취득으로 숙련도 강화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기침만 하는데도 시행해도 되나요? A1. 기침이 강력하고 호흡이 유지된다면 관찰만 하되, 기침이 약해지면 즉시 하임리히법을 시작합니다. Q2. 하임리히법 후 통증이 남으면? A2. 며칠간 복부 통증·멍이 지속될 수 있으나, 심한 통증·출혈이 있으면 의료진 진료가 필요합니다. 

8. 결론 및 행동 유도(CTA)

하임리히법은 비의료인도 숙지하면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필수 응급처치입니다. 오늘 당장 주변 가족·동료와 함께 절차를 공유하고, 가까운 응급처치 교육 기관에 등록해 실습해 보세요. 

반응형